
테스트는 성공으로 뜨는데 빨간색으로 이런 오류메세지가 계속 뜨는것을 발견했다. 이 오류메세지가 뜨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Intellij 설정에서 Settings(Preference)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에서 Build and run using과 Run tests using의 속성을 Intellij IDEA로 해주면 해결된다. 원인 : 빌드할 때 JUnit으로 테스트가 진행 되어야 하는데 Gradle로 되어서 발생한다고 한다.

인텔리제이로 build.gradle 파일을 끌어다놓아 프로젝트를 오픈하려고 하는데, 아무것도 생성되지 않고 빈 프로젝트가 열렸다. 프로젝트 폴더는 보이지 않고 달랑 아래 두가지만 존재하던것... 터미널에는 아래와같은 메세지가.. 인텔리제이 build.gradle 실행 안됨, 오류 라는 검색어를 통해 찾아 본 결과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가서 인텔리J 프로젝트 설정을 담은 디렉토리인 /.idea 를 삭제하고 다시 프로젝트를 빌드/실행하면 된다는 정보를 발견.. 현재 폴더에서 ls -a 명령어를 통해 .idea 파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후 로 .idea 파일을 삭제해주었다. 다시 ls -a 명령어를 통해 .idea 파일이 더이상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다시 build.gradle을 인..

기본적으로 JAR, WAR 모두 Java의 jar 옵션 (java -jar)을 이용해 생성된 압축(아카이브) 파일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배포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관련 파일(리소스, 속성 파일 등)을 패키징 한 것이다. JAR (Java Archive) - JAVA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도록 자바 프로젝트를 압축한 파일 - Class (JAVA리소스, 속성 파일), 라이브러리 파일을 포함함 - JRE(JAVA Runtime Environment)만 있어도 실행 가능함 (java -jar 프로젝트네임.jar) WAR (Web Application Archive) - Servlet / Jsp 컨테이너에 배치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압축파일 포맷 - 웹 관련 자원을 ..
//변수 let age = 25; //정수 let tall = 175.9; // 실수 let inf = Infinity; // 무한대 let minusInf = -Infinity; // 음의 무한대 let nan = NaN; // 수학적 연산 실패 console.log(age + tall); console.log(age * tall); 백틱 & 템플릿리터럴 let name = "rdrd"; let name2 = "자몽"; let name3 = `rdrd ${name2}`; //백틱 & 템플릿리터럴 console.log(name3); let isSwitchOff = false; let a; console.log(a); // undefined let b = null; console.log(b); // nul..

1.3 데이터 저장 구조 및 I/O 메커니즘 I/O 튜닝이 곧 SQL 튜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QL이 느린 이유 SQL이 느린 이유는 십중팔구 I/O 때분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I/O 때문이다. I/O 가 무엇일까 ? I/O = 잠(SLEEP) 이라고 설명한다. OS 또는 I/O 서브시스템이 I/O를 처리하는 동안 프로세스는 잠을 자기 때문이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이며, 생명주기를 갖는다. 생성 이후 종료 전까지 준비와 실행과 대기 상태를 반복한다. 여러 프로세스가 하나의 CPU를 공유할 수 있지만, 특정 순간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CPU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interrupt없이 열심히 일하던 프로세스도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야 할 땐 CPU..

1.2 SQL 공유 및 재사용 💡 SQL의 내부 최적화 과정의 복잡성을 알고 나면, 동시성이 높은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에서는 바인드 변수가 중요하다. 라이브러리 캐시(Library Cache) SQL파싱, 최적화, 로우 소스 생성 과정을 거쳐 생성한 내부 프로시저를 반복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캐싱해두는 메모리 공간. SGA의 구성요소다. 소프트 파싱 vs 하드 파싱 사용자가 SQL문 전달 → DBMS가 SQL을 파싱 후 → 해당 SQL이 라이브러리 캐시에 존재하는지 확인 → 캐시에 존재 ? Y실행 단계 : N최적화 단계 SQL을 캐시에서 찾아 곧바로 실행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소프트 파싱(Soft Parsing)’ 찾는데 실패해 최적화 및 로우 소스 생성 단계까지 모두 거치는 것을 ‘하드 파싱(H..
1.1 SQL 파싱과 최적화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적 질의 언어 SQL은 기본적으로 구조적이고 집합적이고 선언적인 질의 언어다. 원하는 결과집합을 구조적, 집합적으로 선언하지만, 그 결과집합을 만드는 과정은 절차적일 수밖에 없다. 즉, 프로시저가 필요한데, 그런 프로시저를 만들어내는 DBMS 내부 엔진이 바로 SQL 옵티마이저이다. DBMS 내부에서 프로시저를 작성하고 컴파일해서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전 과정을 ‘SQL 최적화’라고 한다. SQL 최적화 SQL 파싱 - 파싱트리생성, Syntax 체크, Semantic 체크 SQL 최적화 - 옵티마이저가 그 역할을 맡는다.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엔진임 로우 소스 생성 SQL 옵티마이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 프로젝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spring
- 스프링 빈
- JavaScript
- 이정환
- 시큐리티
- node
- 스프링의정석
- 리액트
- 멀티스레딩
- Node.js
- EC2
- Spark
- MySQL
- 친절한SQL튜닝
- 남궁성
- @Configuration
- React
- 한입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베이스
- SQL
- 인덱스
- 자바의정석
- Oracle
- 스프링
- 옵티마이저
- 데브캠프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